최근 코로나19 전염병 상황이 장기화 되면서
독감백신을 맞아야할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최근 독감백신에 상온노출, 백색 이물질,
인천 10대 고교생 사망사건으로 인해
더욱 독감백신 접종에 대해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 관련 링크 : www.mfds.go.kr/webzine/201309/pdf/16.pdf
독감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세계에서 올해 유행할 바이러스를
미리 예측해서 발표하고
예측된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제약회사가 생산하는 방식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한 바이러스와
유행한 독감 바이러스의 종류가 다를경우
예방 효과는 상대적으로 떨어질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셈이네요
독감은 감기와 달라서
독감바이러스의 변이 때문에 매년 접종해야하고
독감예방 주사를 맞아도 감기에 걸릴 수 있다는건
모두 아시고 계시겠지요?
보통 백신은 접종 2~3주 후 면역력 항체가 생겨
약 6개월간 유지되기 때문에
독감 유행하는 시기 10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로
독감 유행전 9월부터 미리 접종을 하지요
식품의약품안전청 홈페이지 관련 링크 : mfds.go.kr/webzine/201109/11sept/pdf/16.pdf
건강상태가 양호한 사람도
독감에 걸릴 수 있고
고위험군은 독감에 걸릴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유발되어
사망에 이르기도한답니다
<고위험군>
- 만성의 심혈관계 또는 호흡기계(폐) 질환자
-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 병원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자 :
대사질환(당뇨병 등)자, 신장질환자,
만성간질환자, 악성 종양자, 면역저하 환자,
혈색소병증 환자
- 고령자 및 영아
그래서, 위와같은 고위험군과 면역력이 약한
65세 이상은 분들에게는
독감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계란, 닭고기 및 그 외의 닭 유래성분 또는
이 백신의 구성 성분에 과민방응이 있는 자는
독감백신을 피하셔야한 답니다
아산병원 의학정보 : amc.seoul.kr/asan/depts/fm/K/bbsDetail.do?menuId=378&contentId=51323
독감예방접종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독감 | 의학정보 | 진료안내 | 가정의학과 | 서울아산병원
Q: 독감예방접종을 하면 독감이나 감기에는 절대로 걸리지 않습니까? 그리고 언제 맞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지 알고 싶습니다. A: 독감이 유행하기 전인 9월, 10월에 독감예방 접종을 하면 약 80%에�
amc.seoul.kr
아산병원 의학정보란에는
독감에 걸리면 피해가 큰 고위험군 외에
건강한 사람은 독감백신 접종이
꼭 필요치 않다는 내용이 있네요!!!
이제 독감백신의 부작용이 문제인데요
백신에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과 수은
위험성을 경고하는 내용으로
코로나19와는 다르게
독감은 타미플루 등 치료제가
있기 때문에
독감에 대한 예방은
충분한 수면, 적당한 운동 등
자가 면역력으로
해결해야한다는 시각이지요
'이런 저런 이야기 >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가볼만한곳 청와대 북악산 둘레길 개방 관련 정보 (60) | 2020.10.30 |
---|---|
비대면 2020 동해안 지질 대장정 지오카 투어 참가자 모집 (8) | 2020.10.23 |
양주 핑크뮬리!!! 나리농원(나리공원) 주변 음식점 정보 (9) | 2020.10.16 |
양주 핑크뮬리 2020 나리농원(나리공원) 무료개방 주차장 정보 (36) | 2020.10.15 |
양주 핑크뮬리 보러오세요!!! [2020 나리농원(나리공원) 무료개방] (73) | 2020.10.14 |